AXURE(46)
-
Axure 온라인 클래스 오픈 - 제품 관리자를 위한 최적의 프로토타이핑 툴
저는 한국형 기획자로 시작해서 지금은 제품 관리에 특화된 PM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기획자가 되었을 때는 스토리보드 작성이 주 업무였고 파워포인트 장인이 되어갔는데요. 시간이 지날수록 파워포인트 설계가 업무에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툴들을 찾기 시작했고 그렇게 Axure를 만나고 10년 넘게 이 툴을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설계 업무 비중이 많이 줄어서 Axure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아직도 플로우 차트를 그리거나 간단한 목업을 제작할 때는 Axur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디자인 전문 툴인 피그마, XD, 스케치로도 모두 할 수는 있지만 아무래도 디자인 전용 툴이다 보니 손에 딱 맞는 느낌은 아닙니다. Axure는 파워포인트/키노트의 사용..
2021.01.02 -
PPT, Sketch, XD, Figma vs Axure RP
화면설계 툴 PPT와 UI 디자인 툴 3종 Sketch, Adobe XD, Figma와 비교했을때 Axure가 어떤 특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영상으로 소개합니다. Axure에서는 실제 서비스와 동일하게 작동하는 ①UI를 빠르게 그릴 수 있고 ②디스크립션도 작성 가능하며 ③코딩을 몰라도 누구나 쉽게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④반응형웹부터 ⑤가상 데이터베이스 연동까지! 프로토타이핑 툴의 끝판왕이라고 볼 수 있는 Axure를 만나보세요! 영상 바로가기
2020.09.10 -
[Axure] Repeater로 29CM 브랜드 페이지 만들기
Axure를 오랜시간 사용했고, 잘 사용하고 계신 분들 중에서도 Repeater를 활용할 줄 아시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다른 툴들과 달리 Repeater는 가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서 데이터를 생성, 조회, 업데이트, 삭제 할 수 있고 필터, 정렬 등의 기능도 실제 사이트처럼 구현이 가능한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Repeater의 개념과 구동방식을 소개합니다. 영상 바로가기
2020.09.10 -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UI 설계는 파워포인트로 UI 디자인은 포토샵&일러스트의 조합을 정석으로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다양해지고 작업환경이 변화되면서 스케치, Adobe XD, Figma 등 여러 가지 강력한 툴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이렇게 툴이 다양해진 배경과 여러분에게 맞는 툴은 어떤 게 있을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UI 설계와 UI 디자인의 업무 차이 UI 설계 단에서는 프로젝트 멤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만들고자 하는 프로덕트의 목업(UI)을 결정하고 디자인과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Flowchart와 Description으로 상세하게 정리합니다. 이후 설계 문서를 바탕으로 디자인과 개발을 진행하게 됩니다. UI 디자인 단에서는 프로덕트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디자..
2020.09.01 -
[Axure] Dynamic Panel로 상단/하단 고정 메뉴 만들기
모바일을 기획할 때 상단 타이틀 영역, 하단 내비게이션이 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워포인트에서는 고정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상단/하단 고정이라는 디스크립션을 표시해야 하지만 Axure에서는 아주 쉽게 고정 메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고정 메뉴는 스티키 메뉴라고도 불리는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 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2020.08.12 -
ONDA 기획자 스터디 - 트리플 서비스 분석
지난번 지그재그 서비스 분석 에 이어 3회 차 스터디는 모바일 여행 콘텐츠로 핫한 '트리플'을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트리플은 여행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이미 경험을 해보셨을 거라 생각되는데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여행'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1위로 노출될 정도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더불어 최근 3월에는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할 정도로 놀라운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트리플 서비스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면 으로 압축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❶ 모바일 사용자 경험이 굉장히 좋습니다. 대부분의 여행정보 서비스가 데스크탑에 최적화되어 있어 모바일 가독성이 떨어지는 반면 트리플은 모바일에 완벽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201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