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오너(8)
-
PM 역할 및 레벨에 따른 분류
해외 사례지만 PM의 종류와 레벨별 직무를 요약 정리하고있습니다. 그동안 봐았던 글 중 가장 깔끔하네요! PM 역할에 따른 분류 TPM(Technical Product Manager) DPM(Data/Analytics Product Manager) PMM(Product Marketing Manager) GPM(Growth Product Manager) PM 레벨에 따른 분류 APM(Associate Product Manager) PM(Product Manager) Senior PM(Senior Product Manager) PL(Product Lead)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 VP of Product CPO(Chief Product Officer) 번역 글 ↓ 이준 / 🪆..
2022.03.14 -
PM/기획자 가이드 영상 모음 (Damon)
그동안 유튜브에 틈틈이 업로드한 영상을 모아서 PM/기획자 Guide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유튜브를 처음 시작할 때는 글로 전달하기 어려운 내용을 영상으로 만들어보자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직접 해보니 쉽지 않더군요. 모니터 보면서 혼자 말하는 것도 어색하고 편집할 때 내 목소리 듣는 건 더더욱 어렵고 ㅎㅎ 여러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쳤지만 꾸준히 하다 보니 어느새 영상을 78개나 제작했네요. 그동안 만든 영상을 모아보니 주제별로 정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notion을 기웃거리다 원하는 구성이 안 나와서 axure와 github를 이용해서 미니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damoncho.github.io/pm_guide/ 🔖 PM/기획자 ..
2022.02.16 -
IT 직무 구분이 헷갈릴 땐 이 영상들을 참고해보세요!
누군가에게 말로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IT 직무를 영상으로 정리한 시리즈입니다. 이제 막 IT 업계에 들어오시는 분들이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첫 번째 영상은 IT 직군별 업무를 분류한 영상입니다. 카카오 채용공고를 바탕으로 전략기획, 사업기획, 프론트엔드/백엔드개발, UX/UI 디자인, 영업, 마케팅 등의 직무별 업무 영역을 소개합니다. 두 번째 영상은 제품 관리자의 직무 구분입니다. 비슷한 역량을 요구하면서도 수행업무가 다른 프로덕트 매니저(PM), 프로덕트 오너(PO), 서비스 기획자의 직무가 각각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그렇다고 이 구분이 모든 조직에 통일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리콘밸리 PM은 쿠팡&토스의 PO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고, 야놀자의 PO와 쿠팡&토스 PO..
2021.03.12 -
IT 제품 관리자(PM)의 커리어 패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제품 관리자(PM/PO) 직무가 많이 언급되고 있고, 제품 관리자를 필요로 하는 기업과 지원자 모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직무임에도 기업마다 부여하는 역할이 다르고 또 국내에는 서비스 기획자 지군도 있다 보니 지원자 입장에서는 커리어를 계획하기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큰 틀에서 제품 관리자의 커리어를 가볍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표는 PM의 커리어 패스를 정리한 표입니다. 으로 시작해서 레벨이 되었을 때 분기점이 생기는데 이 표를 기준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Associate PM은 인턴급 PM이라 국내와 해외가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고, 공식 PM이 되었을 때부터 국내와 해외의 업무 차이가 발생합니다. 가장 큰 차이는 UI 설계 유무일 것 같은데요. 국내에서..
2021.03.04 -
애자일 조직, 제품 관리자의 문서 작성 가이드! (Epic, User Story)
꽤 오랜 시간 동안 국내 기획자들은 스토리보드를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해왔습니다. 화면 좌측에는 UI를 그리고 우측에는 기능 명세를 작성하는 방식의 문서인데요. 기획자는 설계를 진행하며 UX를 고민하고 기능 구현 방식도 함께 고민합니다. 그런데 조금 더 생각해보면 UX는 디자이너가 보다 더 전문적이고, 기술은 개발자가 훨씬 전문적인 영역인데 기획자가 도맡아 설계하는 게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UX는 별도 영역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편의상 디자이너와 가깝다고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기획 리뷰 시간이 되면, 디자이너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이슈를 체크하고, 개발자는 기술 관점에서 이슈를 체크하다 보니 당연하게도 경험치가 부족한 주니어 기획자들은 리뷰 시간마다 엄청 까이고 자신의 부족함을 자책하게 됩니다. 선배 ..
2020.12.01 -
IT 제품 관리자 직무 구분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
비슷한 주제의 글을 썼었는데 영상으로 만들어봤습니다. 제품 관리자 직무 구분이 헷갈리시는 분들은 참고해보세요 : ) 영상 바로가기
2020.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