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오너(8)
-
<프로덕트 오너>와 <서비스 기획자>는 다릅니다.
최근에 채용공고를 올렸는데 이력서가 많이 들어와서 이번 기회에 이 두 개 직무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가 11번가, 쿠팡, 티몬, 위메프와 같은 커머스 플랫폼을 만든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서 플랫폼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① 카페24와 같은 솔루션을 구매해서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 ② SI, 에이전시 등 전문업체에 외주를 맡기는 방법 ③ 직접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1,2,3번 모두 가 필요합니다. ① 쇼핑몰 솔루션을 이용하면 입맛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기는 어렵지만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카페24 쇼핑몰은 약 160만 개가 오픈되었다고 하는데요. 카페24는 자사 솔루션을 계속해서 고도화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를 잘하는 기획자가..
2020.09.25 -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오너!
, , 이 중 여러분은 어떤 직함을 가지고 계신가요? 세 직무 간 교집합은 많지만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그동안 읽어본 아티클로 간단히 정리해보면, 해외에서는 를 의 상위 직군으로 분류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 아래 여러 프로덕트 오너가 있는 구조이죠. 국내에서는 반대로 가 의 상위 개념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감상 매니저보다는 오너가 더 윗 직급으로 느껴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 와 가 조금 더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는 일정관리와 의사결정에 포커스가 되어있고, 와 는 실무 기획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개념이 완전히 정착된 건 아니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우리가 용어를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세 직무 간 공통점이 너무나 많기 ..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