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6)
-
종합 여행사의 이해 및 경쟁현황
앞의 온라인 여행 서비스 분류 글에서 큰 범위에서의 여행 시장을 정리했다. 여행 상품의 종류는 항공, 숙박, 렌터카, 입장권&패스, 현지 가이드로 나눌 수 있고, 하나의 상품군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곳을 ‘여행 버티컬 서비스’, 여러 상품을 종합으로 판매하는 곳을 ‘종합 여행사’라 정의했다. 이제 각 산업별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이번 주제는 종합 여행사이다. 종합 여행사의 대표 Player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인터파크투어, 노랑풍선, 참좋은여행 등이 있다. 여러 상품을 판매한다는 점에서 이들 여행사의 사업 모델은 유사하지만, 여행사별 상품 판매 방식에 큰 차이가 있고, 판매 방식에 따라 ‘간판·직판’ 여행사로 분류할 수 있다. 명칭만 들어서는 바로 유추되지 않으니 각각에 대해 살펴보자. 간..
2016.01.15 -
온라인 여행 서비스 분류
어릴 적 내 꿈은 세계일주였다. 그래서 여행 분야의 일을 해보고 싶었고 기획 3년 차에 스타트업 창업 멤버로 시작해 지금까지 약 6년 이상 여행 서비스 기획자로 종사하고 있다. 그동안 여행산업 전반에 걸쳐 수많은 경험을 했고 이제 그 경험을 토대로 기획자인 내 관점에서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한다. 온라인 여행 서비스가 일반 온라인 서비스와 다른 점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첫째는 무형의 상품을 판매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e-커머스 산업은 개인 소유가 가능한 '유형의 상품'을 판매한다. 따라서 구매부터 배송까지의 연계 시스템이 발달해 있다. 하지만, 여행 서비스는 '무형의 상품'을 판매한다. 항공권 좌석, 호텔 숙박권, 렌터카 대여 등 내가 소유할 수 없지만 특정 시간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판매한다..
2016.01.09 -
[웹 기획] 화면 설계 용어 -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의 차이점
📌 이 글은 벌써 4년도 넘은 글인데요. 2020년 9월 기준으로 최신 내용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설계도면이 필요하듯이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도 설계도면이 필요합니다. IT 현장에서는 이를 화면 설계라 지칭하며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스토리보드가 표준 설계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점차 다양한 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알듯 말듯 조금은 헷갈리는 각 용어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와이어프레..
2016.01.06 -
2016년 목표. 글쓰기 근력 강화!
2013년 얼떨결에 재용형, 준호형과 함께 '웹 기획 책'을 집필하기로 결정하고, 여러 우여곡절을 거쳐 2015년 말. 드디어 책의 초고를 모두 출판사에 전달했다. 집필자의 입장에서 100% 만족할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중간에 포기를 고민했던 작업에 마침표를 찍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책을 쓰는 약 2년의 기간 동안 계속해서 한계에 부딪혔고 많은 것을 느꼈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전략, 구축, 운영으로 이어지는 기획이라는 방대한 이론적 개념을 글로 풀어서 설명하는 게 쉽지 않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 책과 인터넷을 검색하면, 이미 잘 정리되어 있는 자료가 너무나 많아 내가 이 글을 쓰는 게 맞나?라는 생각이 반복해서 들었다. 시간을 많이 투자한다고 해서 글이 써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원고 마감일..
2016.01.02 -
제주도 출장중.
10일간의 제주도 출장.매일매일 엄청 바쁘지만~ 복잡한 서울에서 일하는것보단 여유있고 좋다.
2015.12.08 -
기획자에게 필요한 능력은 통찰력
전략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툴은 BCG 매트릭스, 마이클 포터의 5-Forces 모델, 밸류체인 비즈니스 분석 등 굉장히 다양하다. 이러한 툴은 유명한 경영 전략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이미 검증되어 많은 전략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분석은 잘해놓고 엉뚱한 전략을 내놓거나 의미 없는 대안을 제시하는 상황을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게 된다. 운동선수로 비유하면 선수의 신체 특성, 장점, 단점, 경쟁력 등 현 상황을 잘 파악해놓고도 엉뚱한 훈련방법을 제안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략 팀에서 이러한 대안을 내놓는 이유는 해당 시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앞의 분석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기획자에게 필요한 건 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통찰력이다. 경험이 많거나 통찰력이 좋은 기획자는 적은 정보를 가지..
2015.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