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비즈니스 분석(14)
-
영화/드라마 스트리밍 포털 JustWatch 비즈니스 모델 분석
여러분들은 몇 개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시나요? 저는 넷플릭스와 왓챠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두 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다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두 개 플랫폼을 모두 이용하고 있는데요. 최근 [넷플릭스]에서는 킹덤 2, 종이의 집, 더 라스트 댄스를 보고 [왓챠]에서는 이어즈&이어즈, 체르노빌을 봤네요. 고객 입장에서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제작사/배급사/플랫폼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 보니 어쩔 수 없이 플랫폼별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공급하던 디즈니, HBO도 독립적인 스트리밍 플랫폼을 만들어 넷플릭스에 공급하던 작품을 회수하고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힘 쏟고 있습니다. 플랫폼별로 제공하는 콘텐츠가 다르다..
2020.07.30 -
래디쉬(Radish) 비즈니스 모델 분석
최근 언론 기사의 투자 유치 소식을 통해 래디쉬라는 플랫폼을 알게 되었습니다. 글로벌 모바일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760억 원 투자 유치 - 플래텀 760억 원이면 꽤나 큰 투자금액인데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생소한 서비스여서 래디쉬를 직접 사용해보고 비즈니스 모델을 정리해봤습니다. 소설계의 넷플릭스 모델로 모바일에 최적화된 웹 소설을 제공하는 래디쉬! 미국 3대 방송사 ABC의 전 부사장 수 존슨(Sue Johnson)을 최고 콘텐츠 책임자(CCO)로 영입하고 ‘에미상(Emmy Award)’을 다수 수상한 작가들을 직접 채용해 할리우드 스튜디오 방식으로 자체 소설을 제작하는 Radish Orignal. 카카오 페이지 출신의 빵빵한 기술진이 플랫폼을 제작하고, 한국의 웹툰, 소설 미리보기 모델을..
2020.07.23 -
카카오택시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통해 카카오택시 사업모델을 정리해보았습니다.신규 사업을 준비하시는 분들 또는 전략기획 직군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모습이 보이는 영상은 첫 촬영이라 조명은 어둡고 영상비율이 좀 늘어났지만 차차 개선해보겠습니다. ^^ 카카오택시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작성 샘플https://cnvs.online/en/business/-LPWWAr3vb81Fo5Ytd6k
2018.10.24 -
비즈니스 분석 - 데일리호텔
2013년도에 호텔 타임커머스 서비스를 런칭해 2017년도에 거래액 1,200억원 달성, 앱 다운로드 900만, 시리즈C 투자유치에 성공한 데일리호텔의 비즈니스 현황을 분석해봤습니다.
2018.07.01 -
기업가치 1조원 이상. 유니콘 클럽 스타트업 리스트.
유니콘 클럽은 아직, 주식 시장에 상장하지 않았지만 기업가치가 10억달러 (한화 약 1조 1,800억원) 이상 평가받는 메가급 스타트업을 말합니다. 아래 인포그래픽은 CBinsights에서 공개한 유니콘 클럽 리스트로 국내 기업은 쿠팡과 옐로모바일 2곳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년도별로는 2014년 이후로 유니콘 기업이 급격히 늘어났네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CBinsights 올해 초까지만 해도 유니콘 기업에 대한 기대의 목소리가 많이 들려왔는데, 이제는 기대보다 우려의 소리가 많이 들려옵니다. 기업을 지속 운영할 수 있는 수익모델을 발굴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국내에서도 유명한 드롭박스와 에버노트까지도 경영이 어렵다고 하네요. 동종업계 종사자로서 부디 잘 이겨내길 응원합..
2015.10.29 -
기업실적분석 -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뭐지?
상장 기업 또는 비상장 기업 중에서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분기별로 경영실적을 발표한다. 경영실적이 발표되면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경영성과를 분석하는데 이번 기회에 각 지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기사를 살펴보자. 삼성전자와 옐로모바일의 2015년 2분기 경영실적 삼성전자가 2분기 6조 9,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림으로써 전분기비 15.36% 증가하였고, 순이익은 5조 7,523억 원으로 전분기비 24.4% 증가하였다. 매출액은 48조 5,375억 원으로 전분기비 3.0% 증가하는데 그쳤다. 옐로모바일의 2분기 실적은 누적 기준으로 매출 1,354억 원, 영업손실 419억 원, 당기순손실 45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삼성전자는 7조 가까운 영업이익을 올렸..
201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