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22)
-
기획자에게 필요한 능력은 통찰력
전략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툴은 BCG 매트릭스, 마이클 포터의 5-Forces 모델, 밸류체인 비즈니스 분석 등 굉장히 다양하다. 이러한 툴은 유명한 경영 전략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이미 검증되어 많은 전략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분석은 잘해놓고 엉뚱한 전략을 내놓거나 의미 없는 대안을 제시하는 상황을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게 된다. 운동선수로 비유하면 선수의 신체 특성, 장점, 단점, 경쟁력 등 현 상황을 잘 파악해놓고도 엉뚱한 훈련방법을 제안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략 팀에서 이러한 대안을 내놓는 이유는 해당 시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앞의 분석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기획자에게 필요한 건 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통찰력이다. 경험이 많거나 통찰력이 좋은 기획자는 적은 정보를 가지..
2015.11.27 -
IT 기획 연구소 - 블로그 로고 제작.
- 웹에이전시에서 한 달에 7개씩 웹사이트를 만들었던 경험. - 크레듀에서 100만여명의 고객 대상으로 사이트를 운영했던 경험. - 5년간 2개의 스타트업에 창업멤버로 참여한 경험. - 프리랜서로 컨설팅, 자체사업, 백단설계, 운영 업무를 진행했던 경험. 그 동안 웹 기획자로서 수많은 경험을 했는데 이제는 후배들을 위해 베풀때가 된 것 같다. 이론보다는 실무자 입장에서 꼭 필요한 경험들을 전달하고자 블로그를 개설했고, 양질의 자료로 한가득 채워나가야겠다. 잠깐 뚝딱뚝딱 하더니 실험실 느낌의 로고를 만들어준 JH님 감사합니다. (^^)(__)
2015.10.23 -
웹기획자의 직장 살펴보기 - SI 편.
SI(System Intergration) 기업에서 IT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할 때 SI업체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말하는 SI는 시스템 통합의 약자로 SI기업은 IT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구축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SI기업은 WEB을 통한 비즈니스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웹에이전시와 사업방향은 비슷하지만 동전의 앞, 뒷면과 같이 그 성격이 사뭇 다릅니다. 웹에이전시는 B2C 성격의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하고, SI는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B2B, B2G 성격의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합니다. SI 기업은 일반적으로 그룹웨어, ERP, 인트라넷, CMS, CRM, 보안시스템 등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금융권, 공기업, 정부 및 공공기관, 대기업 등을 상대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IT ..
2015.09.09 -
개발자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
주니어 기획자 시절.개발자와 업무 관련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도통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이해가 안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점점 더 미궁으로 빠져든다. 당장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데 대화가 막히면 감정싸움으로 변질되고 기획자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네이버는 되는데요!", 이에 발끈한 개발자가 응답한다. "우린 네이버가 아니에요!" 네이버가 되는 것도 맞는 말이고, 우린 네이버가 아닌 것도 맞는 말이다. 이런 감정싸움은 굉장히 소모적이다. 대부분의 기획자와 개발자가 이와 같은 논쟁을 겪어보았을 것이다. 왜일까? 기획자와 개발자의 사고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기획자는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직군이다. 손으로 만질 수 없는 생각을 문서로 표현하기 위해 "사업적 이익", "고객가치", ..
2015.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