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매니저(11)
-
<프로덕트 오너>와 <서비스 기획자>는 다릅니다.
최근에 채용공고를 올렸는데 이력서가 많이 들어와서 이번 기회에 이 두 개 직무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가 11번가, 쿠팡, 티몬, 위메프와 같은 커머스 플랫폼을 만든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서 플랫폼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① 카페24와 같은 솔루션을 구매해서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 ② SI, 에이전시 등 전문업체에 외주를 맡기는 방법 ③ 직접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1,2,3번 모두 가 필요합니다. ① 쇼핑몰 솔루션을 이용하면 입맛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기는 어렵지만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카페24 쇼핑몰은 약 160만 개가 오픈되었다고 하는데요. 카페24는 자사 솔루션을 계속해서 고도화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를 잘하는 기획자가..
2020.09.25 -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와 기획자의 메인 업무 중 하나는 UI 설계입니다. 이를 업계에서는 화면설계서, 화면정의서, 스토리보드, MMI(Man Machine Interface)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고놈이 고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화면설계서는 대부분 파워포인트(키노트)로 제작합니다. 저도 주니어 시절에는 2년간 PPT 설계를 정말 열심히 했는데요. 그때는 설계 문서가 대외비이기도 하고 내 노하우를 남들에게 알려주기 싫어서 꽁꽁 싸매 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PPT 설계를 안 한 지도 어느새 10년이 넘었고 공개 가능한 내용도 있어서 문서 몇 개를 짜깁기해서 샘플 설계서를 만들어봤습니다. 이미 현업에 계시는 분들은 다 아실 내용이라 주니어 레벨에서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 표지 모든 문서의..
2020.09.08 -
프로덕트 매니저, 데이터 분석 얼마나 알아야 할까요?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의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아는데 여러분은 데이터와 얼마나 가까이 지내시나요? ① 비즈니스 레벨에서는 회사 운영 및 투자유치를 위해 KPI 현황과 손익 데이터가 필요하고, ② 마케팅 팀에서는 전체적인 고객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AARRR 등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③ 프로덕트 팀에서는 제품 개선을 위한 User 활동 및 고객 피드백 데이터가 필요하고, ④ 개발 팀에서는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로그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이 중 ①②③번과 가깝게 지내야 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보통 팀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러한 데이터와 친해질수록 발언에 설득력을 높일 수 있고 팀 동료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료가 나를 신뢰하는 만큼 팀과 회사 내에..
2020.09.02 -
주니어 기획자를 위한 추천도서!
오늘은 주니어 레벨의 가 참고하기 좋은 추천도서를 소개합니다. 선정 기준은 너무 어렵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에 좋은 책을 기준으로 골라봤습니다. 자 시작하시죠! 1.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자로 커리어를 쌓아갈 때 최종 단계는 어디일까요? 직접 사업을 시작해서 CEO가 될 수도 있지만 제품을 총괄하는 CPO(Chief Product Officer)가 가장 가깝습니다. 그리고 최고 책임자가 되기 전에는 프로덕트 오너(PO) 역할을 거쳐가게 되는데요. 쿠팡의 PO 김성한 님이 프로덕트 오너의 역할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서 바로가기 2.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요즘은 PM, PO 여러 용어가 다양하지만 사실 이런 조직 구조는 스타트..
2020.08.18 -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오너!
, , 이 중 여러분은 어떤 직함을 가지고 계신가요? 세 직무 간 교집합은 많지만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그동안 읽어본 아티클로 간단히 정리해보면, 해외에서는 를 의 상위 직군으로 분류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 아래 여러 프로덕트 오너가 있는 구조이죠. 국내에서는 반대로 가 의 상위 개념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감상 매니저보다는 오너가 더 윗 직급으로 느껴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 와 가 조금 더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는 일정관리와 의사결정에 포커스가 되어있고, 와 는 실무 기획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개념이 완전히 정착된 건 아니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우리가 용어를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세 직무 간 공통점이 너무나 많기 ..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