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스터디(11)
-
나의 강점 5개를 발견하는 법 - 갤럽 강점검사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혁명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은 화술 강좌에 등록하고,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프레젠테이션 강좌에 등록한다. 우리는 이처럼 가장 성과가 약한 일에 자신의 가장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그러나 약점을 보완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발전적 과정이 아니라 피해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소극적 수단일 뿐이다. 성공의 비밀은 자신이 가장 잘하는 일, 강점에 있다. 청림출판에서 새롭게 출간된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혁명》(2021년 개정판)은 약점을 보완하는 데에 집중되었던 모든 관심을 강점에 쏟는다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 하는 도널드 클리프턴의 간단한 생각에서 출발했다. 출간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미국,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올라 있을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
2022.11.30 -
수영을 배우다.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야 한다.
어릴 적부터 물놀이를 좋아했다. 전문적으로 배운 적은 없고 목욕탕, 수영장, 계곡, 바닷가에서 친구들과 놀 때 즐기는 정도였다. 수영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은 거의 없었는데 10개월 전부터 아이가 수영을 배우게 되면서 매주 아이를 데리고 수영장에 방문하게 되었고 가끔씩 아이를 기다리며 수영을 배워볼까?라는 생각이 종종 들었다. 그런데 그런 생각이 들 때마다 나도 모르게 안 되는 이유를 먼저 찾고 있었다. 레슨비를 더 내야 할 텐데 아이랑 같이 레슨을 받으면 선생님이 아이한테 쏟는 시간이 줄어드는 건 아닐까? 살이 쪄서 웃통 까고 수영하기는 창피한데.. 그러던 중 선생님의 권유로 아이랑 같이 수영 레슨을 받게 되었고 이제 막 2회 차가 지났다. 수영을 배우면 안 되는 이유를 먼저 찾던 내 생각은 바로 변했다..
2022.10.18 -
성장의 핵심 포인트는 30%의 인풋과 70%의 아웃풋!
매일매일 글을 써야겠다고 다짐하지만 사실 일주일에 글 한편 쓰기도 어렵다. 어떤 글을 써야 할지 주제를 고민하다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열심히 쓰던 글이 마음에 들지 않기도 한다. 꽤 오랜 시간 동안 글을 써왔음에도 좀처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던 중 이라는 책을 읽고 이러한 고민에 대한 답을 만날 수 있었는데 기억에 남는 문장을 몇 개 뽑아보면 다음과 같다. 저자는 30년 넘게 다달이 20권이 넘는 책을 읽어왔는데, 보통 사람에 비하면 압도적인 인풋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무리 인풋을 해도 성장하지 않는다라는 사실을 깨닫고 의식적으로 아웃풋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읽기' '듣기'가 인풋이고, '말하기' '쓰기' '행동하기'가 아웃풋이다. 학생과 직장인의..
2022.10.06 -
너진똑님 영상을 보고 정리한 <행복의 조건>
조지 베일런트의 행복의 조건 책을 책장에 꽂아둔지 10년이 넘었는데 아직까지도 완독을 못하고 책장에만 꽂아두었다. 그러다 유튜버 너진똑 님이 ‘이거’ 안하면 인생 망합니다. 진짜로 영상으로 쉽게 정리해준 내용이 있어서 요약 행복의 조건 주요 내용. 하버드 대학교 연구팀이 100년에 가까운 긴 세월 동안 800명의 인생을 살펴보고 정리한 실험 보고서 현실도 게임처럼 공략집이 존재한다. 실제로 인간도 무엇을 하고 안 하는지에 따라 해피엔딩과 베드엔딩으로 갈렸다. 유전자, 콜레스테롤, 스트레스, 신앙심, 기질 같은 요소들이 의외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었다. 인생 존망을 막는 6가지 방어 요소. 성숙한 방어기제 어떤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행복지수가 결정된다. 행복한 사람 대다수는..
2022.09.27 -
네이티브 앱으로 제작할까? 크로스 플랫폼 앱으로 제작할까?
모바일 앱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네이티브 앱으로 갈지, 하이브리드 앱으로 갈지, 크로스 플랫폼 앱으로 갈지 항상 고민하게 됩니다. 단순히 앱 퍼포먼스만을 생각하면 네이티브 앱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각각의 OS에 맞추어 개발자를 채용하다 보면 개발비용도 유지운영 비용도 2배로 들게 됩니다. 기업 규모가 크고 인력에 여유가 있다면 양쪽 개발팀을 이끌어갈 수 있지만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의 경우 특정 OS의 개발자가 퇴사하면 그때부터 헬게이트가 시작됩니다..ㅠㅠ 그러다 보니 앱 퍼포먼스가 서비스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앱 방식을 선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데요. 단순히 Native 앱 껍데기에 webview 기능을 얹어서 모바일 웹 화면을 그대로 서비스하기도 하고, 네이티브 App 기능과 We..
2022.06.10 -
리텐션을 고민할 때 생각해봐야 할 것들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리텐션에 대한 고민은 빠질 수 없다. 신규 고객 유치와 리텐션 상승 둘 중 뭐가 더 중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보면 사실 둘 다 중요하다. 아무리 리텐션이 좋아도 신규 고객이 유입되지 않으면 서비스는 성장할 수 없고, 아무리 바이럴이 잘되어도 리텐션이 없는 서비스는 유지될 수 없다. 요즘 다양하게 활용되는 심리 퀴즈들의 사례를 보면 빠르게 바이럴은 일으키지만 리텐션은 잡지 못하고 금세 잊혀지게된다. 그래도 둘 중에 우선순위를 두자면 리텐션이 우선이다. 적은 수의 고객이라도 단골을 만들어야 그에 맞춰 사업을 계획하고 유지할 수 있다. 사업을 오픈했는데 뜨내기 고객만 있고 고객과 매출 등락폭이 심하다면 사업의 방향을 예측하기도 쉽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리텐션이 중요..
2022.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