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서비스 기획(27)
-
[기획 팁] 괜찮은 이메일은 모아두자!
개인적인 습관이지만 기획 일할 때 도움되는 사소한 팁을 공유합니다. 주제는 "괜찮은 이메일은 모아두자!" 입니다. 기획 작업을 하다 보면 이메일 기획을 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 경우 본인에게 수신된 이메일을 참고하게 되는데요.평소 이메일을 확인할 때 괜찮은 메일을 Keep 해두면 필요한 시점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하단 이미지와 같이 E-mail 수집 폴더를 만들고 앞으로 써먹을 만한 이메일을 따로 모아둡니다.2009년부터 수집한 이메일이 어느새 660개나 모였네요. 메일을 성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프로모션 메일회원관련 메일주문관련 메일약관개정 메일오픈,리뉴얼,종료 메일활동알림 메일 이 메일함만 있으면 어떠한 이메일 기획도 단숨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업무 속도를..
2016.02.26 -
웹 서비스 구축 체크리스트
뻔한 말이지만 웹, 모바일 기획도 기획의 한 줄기입니다. 따라서 웹 기획을 잘하려면 당연히 기획력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획력은 흔히 말하는 스토리보드를 잘 그리거나 웹 관련 전문지식을 많이 안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기획력은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찾는 사소한 생각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 특성과 행동 패턴을 연구하고 이를 하나의 솔루션으로 만들어 사람을 움직이는 능력이 바로 기획력입니다. 하지만 실무를 담당하는 웹, 모바일 기획자 중 상당수는 기획의 초점을 단순히 웹사이트나 모바일 서비스를 예쁘게 만드는 것에 맞추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웹 기획 =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일’이라는 제한된 틀 안에서 생각합니다. IT 기획 연구소는 이런 웹 기획에 ..
2016.02.21 -
[웹 기획] 화면 설계 용어 -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의 차이점
📌 이 글은 벌써 4년도 넘은 글인데요. 2020년 9월 기준으로 최신 내용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설계도면이 필요하듯이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도 설계도면이 필요합니다. IT 현장에서는 이를 화면 설계라 지칭하며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스토리보드가 표준 설계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점차 다양한 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알듯 말듯 조금은 헷갈리는 각 용어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와이어프레..
2016.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