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91)
-
기획자에게 필요한 능력은 통찰력
전략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툴은 BCG 매트릭스, 마이클 포터의 5-Forces 모델, 밸류체인 비즈니스 분석 등 굉장히 다양하다. 이러한 툴은 유명한 경영 전략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이미 검증되어 많은 전략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분석은 잘해놓고 엉뚱한 전략을 내놓거나 의미 없는 대안을 제시하는 상황을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게 된다. 운동선수로 비유하면 선수의 신체 특성, 장점, 단점, 경쟁력 등 현 상황을 잘 파악해놓고도 엉뚱한 훈련방법을 제안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략 팀에서 이러한 대안을 내놓는 이유는 해당 시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앞의 분석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기획자에게 필요한 건 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통찰력이다. 경험이 많거나 통찰력이 좋은 기획자는 적은 정보를 가지..
2015.11.27 -
[로그분석 뽀개기 ③] 고객 행동 및 목표 전환 측정
고객은 사이트 접속 후 어떻게 행동하는가.고객이 서비스로 유입되었다면 다음으로 고객 이용형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고객은 서비스 유입 후 바로 이탈할 수도 있고, 운영자가 의도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유입된 고객을 어떤 관점에서 로그 분석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방문/재방문/체류시간 체크하루에 고객이 100명 방문했다고 로그 수치가 보일 때, 이 수치는 1명의 사용자가 100번 방문했을 수도 있고, 100명의 사용자가 1번씩 방문했을 수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우리 서비스를 정말 좋아하는 충성고객은 있지만 다른 고객의 유입이 없어 홍보가 덜되었다라고 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재방문이 없었기 때문에 한 번 왔던 고객은 우리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고 떠나간다고 볼 수 있습니..
2015.11.26 -
[로그분석 뽀개기 ②] 고객은 어디서 유입되는가?
사업계획, 기획,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과정을 거쳐 드디어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이제 고객이 찾아오고, 입소문이 나고,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커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아무도 찾아오지 않습니다. 고객은 우리 서비스가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영자는 서비스 오픈 이전부터 광고 및 홍보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고객이 유입되는 채널은 포털 검색(Organic Search), 직접 링크(Direct), 타 사이트 링크(Referral), 소셜(Social), 유료광고(Paid Search), 이메일(Email)로 구분됩니다. 유입 경로가 파악됐으니 이제 고객이 움직이는 길목에 우리 서비스를 노출시키면 됩니다. 각각의 채널별로 고객 유입을 늘리는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포털 검색을 통합 ..
2015.11.24 -
[로그분석 뽀개기 ①] 로그분석 왜 해야할까?
우리가 제작하는 "WEB/APP 서비스 = 온라인 상점"이라고 했을 때, 로그분석은 우리 상점에 방문하는 고객의 유입경로, 사이트 이용형태,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하는 분석기법입니다. 오프라인 상점은 고객의 방문 흐름이 한 눈에 보이기 때문에 손님이 많은지, 장사가 잘 되는지, 무엇이 문제인지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맞춤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온라인 상점은 고객의 방문 흐름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를 개선해야 하거나 문제가 감지되었을 때 무엇부터 해결해야 할지 서비스 운영에 혼란을 겪게 됩니다. 온라인 상점에 고객 로그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덧붙이면 고객의 행동 흐름을 수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개선 방향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서비스 운영자는 이러한..
2015.11.23 -
[일상] 끄적끄적.
블로그에 쓰고 싶은 글감이 참 많은데 요즘은 회사일과 집필 활동으로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일기라도 쓰자. 회사에서는 비즈니스 컨설팅 진행중. 전략 팀으로부터 자회사 서비스에 대한 분석 요청이 왔다. 비즈니스부터 UI/UX까지 전체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어 매출자료와 로그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현황을 파악하고 있고, UX 단은 journey map(고객 여정 지도)를 통해 사용성을 분석중이다. JH님과 MJ님의 작업 중인 journey map 웹 기획 서적 집필중 약 2년전부터 기획자 3명이 모여 공동으로 웹 기획 가이드북을 집필중이다. 전체적인 초고는 완성되었고 세부내용을 다듬는 중인데 지금은 로그분석 내용을 정리중이다. 글 쓰면서 느끼는 점은 실무에서 매일같이 하는 일도 글로 풀어내는게 ..
2015.11.18 -
독서리뷰 -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
가끔은 좋은 책을 읽고 나면 따로 정리해 놓는 습관이 있습니다. 첨부자료는 3년 전에 읽었던 프로그래머로 사는 법이라는 책을 요약한 내용으로 IT업계 거장들을 인터뷰해 직장생활 노하우, 일과 삶에서 균형 찾는 법, 성공으로 가는 방법 등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IT업계 종사자들이라면 관심 가질만 한 주제이니 한 번쯤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