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91)
-
숙박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
기획자의 관점에서 여행산업을 분석해보는 시리즈 포스팅입니다. 이번에 다뤄 볼 주제는 ‘숙박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으로 야놀자, 여기어때, 데일리호텔, 호텔스컴바인, 소셜커머스 등 국내 IT 기반의 숙박 플랫폼 서비스가 어떠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여행 산업을 상품군에 따라 분류해보면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경쟁이 가장 치열한 카테고리가 숙박인데요. 여행을 계획할 때 숙소 예약은 필수인 만큼 수요와 공급이 가장 많고 수익률도 다른 상품군에 비해 괜찮은 편이기에 많은 사업자가 매력을 느끼는 시장입니다. 굳이 여행이 아니어도 당일숙박(당일호텔,모텔)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죠. 실제 경쟁상황 확인을 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여행 카테..
2016.11.26 -
드디어 출간! -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
제가 공동저자로 참여한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 책이 2016년 7월 15일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약 3년의 시간이 걸렸는데요. 정말 쉽지 않은 과정이었는데 실물로 받아보니 이제야 좀 실감이 나네요. ^^ 이 책을 집필하게 된 이유는 IT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웹 기획자는 가장 중요한 포지션임에도 웹 기획에 대해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교육이나 서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희가 집필을 시작한 3년 전쯤에는 웹 기획보다는 UI/UX에 대한 서적이 대부분 웹 기획 코너를 독차지하고 있었는데요. 저희는 UI/UX는 웹 기획의 롤보다는 디자이너의 영역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직접 써보기로 했습니다. 웹 기획 서적은 트렌드에 맞지 않는다며 출판..
2016.07.18 -
웹/모바일 서비스 검수 시나리오 (테스트 시나리오)
저희 UX팀에서는 최근 '우리펜션 모바일 리뉴얼 기획'을 마무리하고, 곧 있을 서비스 오픈을 위해 검수 시나리오(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 중에 있습니다. 검수 시나리오는 검수 항목을 사전에 계획하여 시나리오 형태로 만든 것으로 서비스를 보다 정확하게 검수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검수 시나리오 없이 무작위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검수를 진행할 수 있지만 꼭 필요한 주요 테스트를 놓칠 우려가 있고, 검수자가 의욕 없이 테스트에 임하는 경우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 오픈 전 검수 시나리오를 꼼꼼히 작성하고 시나리오에 따른 검수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검수 시나리오 작성방법은 간단합니다. 엑셀 or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2016.06.28 -
신규 Web & Mobile 서비스 구축 프로세스
IT 현장에서 약 9년간 웹 기획자로 종사하며 50여 개의 Web & Mobile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 수립부터 구축까지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정리해봤습니다. 관련 종사자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고요. 이후 포스팅에서는 각 단계별 실행 방법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보겠습니다.위 프로세는 기본 뼈대로, 필요에 따라 프로세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기도 합니다.
2016.04.25 -
[Good UX] 벅스뮤직 해외 가수명 한글 표기
좋은 UX에 대해 기획자의 관점에서 해설해보는 코너입니다. Good UX 벅스뮤직을 이용한지 몇 개월 되었는데요. 오늘에서야 벅스가 해외 가수 이름을 한글로 병행 표기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제가 이용했던 다른 서비스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사용성인데요. Silje Nergaard(실예 네가드)와 같이 한글 발음이 어려운 이름도 쉽게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Why? 벅스뮤직은 왜 한글 가수명을 넣었을까요? 제 생각에는 검색 품질 향상을 위해서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서비스 이용자를 분석해보니 해외 가수를 한글로 검색하는 고객들이 발견되었고, 그들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영문 Ne-Yo'와 '한글 니요'로 검색했을 때 동일한 가수임에도 한글 검색 결과의 품질이 낮았..
2016.04.16 -
한 번쯤 들어봤던 화면설계 & 프로토타이핑 툴 총정리
📌 이 글은 벌써 4년도 넘은 글인데요. 2020년 9월 1일 기준으로 최신 내용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IT 현장에서는 화면 UI를 설계할 때 대부분 파워포인트를 사용합니다. 저 또한 파워포인트로 수많은 스토리보드를 제작했는데요. 파워포인트로 화면을 설계하면서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파워포인트 설계의 불편한 점 1. 제한된 공간에 페이지 경로, 화면 UI, 디스크립션 등 다양한 내용을 담아야 한다. 그러다 보니 화면이 점점 복잡해진다. 개인적으로는 다음 페이지로 넘기지 않기 위해 최대한 욱여넣었고 폰트 사이즈는 점점 작아졌다. 2.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모든 화면을 일일이 수정해야 한다. 페이지가 적으면 크게 문제 되지 않지만..
201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