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91)
-
발표 울렁증을 극복한 개인적인 팁!
기획자는 직무 특성상 회의, 리뷰, 발표가 많을수 밖에 없고 발표 스킬도 중요한 역량 중 하나입니다. 저도 쥬니어 시절에는 발표 울렁증이 정말 심했었는데요. 지금도 울렁증이 완전히 없어지진 않았지만 어느정도 극복한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성향과 기질을 바탕으로 발표 울렁증을 줄일 수 있는 몇가지 팁을 영상으로 공유합니다. 영상 바로가기
2020.11.20 -
IT 제품 관리자 직무 구분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
비슷한 주제의 글을 썼었는데 영상으로 만들어봤습니다. 제품 관리자 직무 구분이 헷갈리시는 분들은 참고해보세요 : ) 영상 바로가기
2020.11.20 -
넷플릭스 <규칙 없음> 도서 리뷰!
넷플릭스의 조직문화를 정리한 신간 이 출간되고 여기저기 소개되며 굉장히 핫한데요. 저도 이 책을 읽어보고 인상 깊은 내용이 많아서 3개의 영상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저도 현업에서 다양한 조직문화를 경험해봤지만 넷플릭스의 조직문화는 정말이지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입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비밀을 아낌없이 공개하고 있는데요.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좋은 건 알겠는 데 따라 할 수 있는 기업이 얼마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넷플릭스도 쉽게 따라 할 수 없다는 걸 알기 때문에 자신 있게 꺼내놓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자 그럼 간단한 줄거리와 영상을 공유합니다. 1부 - 자유와 책임을 중시하는 F&R 조직 이 책에서는 규정과 절차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조직체계를 R&P(Rules and Process), 자유..
2020.10.28 -
넷플릭스의 영화 추천 알고리즘
도서에 소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넷플릭스 회원은 10~20개 타이틀 검토 후 영화를 결정하지 못하면 60~90초 후에 흥미를 잃는다! OTT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고객을 자주 방문하게 만들고 최대한 오래 붙잡아 두는 게 OTT 플랫폼 성공의 핵심 요소입니다. 콘텐츠 보유 정도가 플랫폼별로 비슷하다고 했을 때 보유 타이틀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가 핵심 경쟁력이 될 수 있는데요. 넷플릭스는 DVD 대여 사업을 했을 때부터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이 선호하는 타이틀을 기가 막히게 찾아줍니다. 넷플릭스는 고객의 70~80%가 추천 콘텐츠를 시청한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넷플릭스의 추천 알고리즘을 간단히 소개해보겠습니다.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너무 깊..
2020.10.28 -
명품 구매 플랫폼 <트렌비> 비즈니스 분석
는 명품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이미 잘 알려진 명품 구매 플랫폼인데요. 저는 투자유치 기사를 읽고 최근에서야 이 서비스를 알게 되었고 호기심이 생겨서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트렌비는 2017년도에 서비스를 정식 오픈하고, - 월간 순 방문자(MAU) 250만 명 - 2019년 거래액 451억 원 - 2020년 7월 110억 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 누적 투자금 180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트렌비의 은 고객에게 명품을 판매하고, 판매 마진을 이익으로 취하는 단순한 방식인데요. 비즈니스 모델은 단순하지만 그 누구도 쉽게 따라올 수 없는 탄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트렌비의 핵심 경쟁력 2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전 세계 명품을 판매하고 최저가를 찾아준다. 명품 브랜드 구찌가 ..
2020.10.07 -
서비스 정책 깔끔하게 정리하기!
IT Product을 만들다 보면 서비스 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순간이 자주 발생합니다. 정책은 한 번 결정되면 되돌리기가 쉽지 않은데요. 정책을 변경하면 그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 정책은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서비스 정책은 보통 제품 기획 담당자가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다 같이 모여 리뷰하고, 합의를 통해 결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때 내용이 제대로 정리가 안 된 상태로 회의를 진행하게 되면 토론만 실컷 하다가 의사결정을 못한 채 회의를 종료하게 됩니다. 흔히 말하는 소모적인 회의로 이어지게 되는거죠. 그래서 이번에는 서비스 정책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저희가 회원가입 인증 정책을 고민 중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회원가..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