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관리(91)
-
<프로덕트 오너>와 <서비스 기획자>는 다릅니다.
최근에 채용공고를 올렸는데 이력서가 많이 들어와서 이번 기회에 이 두 개 직무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가 11번가, 쿠팡, 티몬, 위메프와 같은 커머스 플랫폼을 만든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기서 플랫폼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① 카페24와 같은 솔루션을 구매해서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 ② SI, 에이전시 등 전문업체에 외주를 맡기는 방법 ③ 직접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1,2,3번 모두 가 필요합니다. ① 쇼핑몰 솔루션을 이용하면 입맛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기는 어렵지만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카페24 쇼핑몰은 약 160만 개가 오픈되었다고 하는데요. 카페24는 자사 솔루션을 계속해서 고도화하기 위해 시스템 설계를 잘하는 기획자가..
2020.09.25 -
애자일 조직에서 아사나로 일정 관리하기!
애자일 조직에서 많은 회사들이 JIRA로 Task를 관리하고 Confluence를 wiki로 이용하지만, 저희는 Asana로 Task를 관리하고 Notion을 wiki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희 팀이 아사나로 Task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애자일 조직에서 PO/PM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업무 우선순위 결정입니다. 업무가 만들어지는 경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① 고객 피드백을 통한 유입 ② 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슈 및 기술 부채 ③ 제품 로드맵에 따른 신규 기능 추가 ①번은 고객과 관련이 있고 ②번은 내부 팀과 관련이 있고 ③번은 경영진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면 제품의 방향성도 흔들리게 되는데요. PO는 제품이 올바른 방향으로..
2020.09.14 -
개발자 윌슨의 테스트 시나리오!
저희 팀에는 여러 명의 개발자가 있고 당연히 모두 다 성향이 다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윌슨이 작성했던 개발 테스트 시나리오를 일부 공유해보려고 하는데요. 윌슨은 Task가 주어지면 작업 전에 궁금한 것들을 디테일하게 파악하고 전체 범위를 다시 한번 정리하고 시작하는 굉장히 꼼꼼한 성향의 개발자입니다. 그래서인지 커뮤니케이션 미스가 거의 없고 배포 후 버그 발생 빈도도 굉장히 적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윌슨이 담당했던 스프린트에 관한 내용인데요. 진행과정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개발자 2명이 한 달간 진행할 분량의 큰 스프린트를 배정했는데, 개발자 1명이 중간에 다른 Task로 급하게 착출 되었습니다. 그래서 중간부터는 거의 혼자서 개발을 진행했고, 기획 관련자들도 바쁘다는 핑계로 테스트 시나..
2020.09.11 -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와 기획자의 메인 업무 중 하나는 UI 설계입니다. 이를 업계에서는 화면설계서, 화면정의서, 스토리보드, MMI(Man Machine Interface)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고놈이 고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화면설계서는 대부분 파워포인트(키노트)로 제작합니다. 저도 주니어 시절에는 2년간 PPT 설계를 정말 열심히 했는데요. 그때는 설계 문서가 대외비이기도 하고 내 노하우를 남들에게 알려주기 싫어서 꽁꽁 싸매 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PPT 설계를 안 한 지도 어느새 10년이 넘었고 공개 가능한 내용도 있어서 문서 몇 개를 짜깁기해서 샘플 설계서를 만들어봤습니다. 이미 현업에 계시는 분들은 다 아실 내용이라 주니어 레벨에서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 표지 모든 문서의..
2020.09.08 -
프로덕트 매니저, 데이터 분석 얼마나 알아야 할까요?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의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아는데 여러분은 데이터와 얼마나 가까이 지내시나요? ① 비즈니스 레벨에서는 회사 운영 및 투자유치를 위해 KPI 현황과 손익 데이터가 필요하고, ② 마케팅 팀에서는 전체적인 고객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AARRR 등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③ 프로덕트 팀에서는 제품 개선을 위한 User 활동 및 고객 피드백 데이터가 필요하고, ④ 개발 팀에서는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로그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이 중 ①②③번과 가깝게 지내야 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보통 팀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러한 데이터와 친해질수록 발언에 설득력을 높일 수 있고 팀 동료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료가 나를 신뢰하는 만큼 팀과 회사 내에..
2020.09.02 -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UI 설계는 파워포인트로 UI 디자인은 포토샵&일러스트의 조합을 정석으로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다양해지고 작업환경이 변화되면서 스케치, Adobe XD, Figma 등 여러 가지 강력한 툴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이렇게 툴이 다양해진 배경과 여러분에게 맞는 툴은 어떤 게 있을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UI 설계와 UI 디자인의 업무 차이 UI 설계 단에서는 프로젝트 멤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만들고자 하는 프로덕트의 목업(UI)을 결정하고 디자인과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Flowchart와 Description으로 상세하게 정리합니다. 이후 설계 문서를 바탕으로 디자인과 개발을 진행하게 됩니다. UI 디자인 단에서는 프로덕트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디자..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