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획(25)
-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산출물 모음 (웹만사 맥비님 자료 링크)
기획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셀 수 없이 많은 산출물을 작성합니다. 당장 문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맨땅에 헤딩하려면 눈앞이 막막합니다. 샘플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기획자의 문서는 대부분 대외비라 잘 유통되지 않습니다. 개발은 오픈소스도 잘 구축되어 있고, 디자인은 참고할 수 있는 채널이 많은데. 기획은 자료 하나 구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제가 직접 만들어 하나씩 유통하려 했으나, 웹만사 카페의 “macbethi 맥비”님께서 프로젝트에 필요한 S급 산출물을 공유해주셨습니다. 맥비님보다 더 나은 산출물을 만들 자신은 없기에 많은 분이 볼 수 있도록 산출물 링크로 대신합니다. 좋은 산출물을 공유해주신 맥비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비회원은 파일 다운로드를 할 수 없으니, 웹만사 카페 가입 후 이용해주세요..
2016.03.07 -
[기획 팁] 괜찮은 이메일은 모아두자!
개인적인 습관이지만 기획 일할 때 도움되는 사소한 팁을 공유합니다. 주제는 "괜찮은 이메일은 모아두자!" 입니다. 기획 작업을 하다 보면 이메일 기획을 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 경우 본인에게 수신된 이메일을 참고하게 되는데요.평소 이메일을 확인할 때 괜찮은 메일을 Keep 해두면 필요한 시점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하단 이미지와 같이 E-mail 수집 폴더를 만들고 앞으로 써먹을 만한 이메일을 따로 모아둡니다.2009년부터 수집한 이메일이 어느새 660개나 모였네요. 메일을 성격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프로모션 메일회원관련 메일주문관련 메일약관개정 메일오픈,리뉴얼,종료 메일활동알림 메일 이 메일함만 있으면 어떠한 이메일 기획도 단숨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업무 속도를..
2016.02.26 -
웹 서비스 구축 체크리스트
뻔한 말이지만 웹, 모바일 기획도 기획의 한 줄기입니다. 따라서 웹 기획을 잘하려면 당연히 기획력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획력은 흔히 말하는 스토리보드를 잘 그리거나 웹 관련 전문지식을 많이 안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기획력은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찾는 사소한 생각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 특성과 행동 패턴을 연구하고 이를 하나의 솔루션으로 만들어 사람을 움직이는 능력이 바로 기획력입니다. 하지만 실무를 담당하는 웹, 모바일 기획자 중 상당수는 기획의 초점을 단순히 웹사이트나 모바일 서비스를 예쁘게 만드는 것에 맞추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웹 기획 =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일’이라는 제한된 틀 안에서 생각합니다. IT 기획 연구소는 이런 웹 기획에 ..
2016.02.21 -
[웹 기획] 화면 설계 용어 -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의 차이점
📌 이 글은 벌써 4년도 넘은 글인데요. 2020년 9월 기준으로 최신 내용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의 툴, UI 디자이너의 툴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설계도면이 필요하듯이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도 설계도면이 필요합니다. IT 현장에서는 이를 화면 설계라 지칭하며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프로토타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파워포인트로 제작한 스토리보드가 표준 설계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점차 다양한 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알듯 말듯 조금은 헷갈리는 각 용어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와이어프레..
2016.01.06 -
기획자에게 필요한 능력은 통찰력
전략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툴은 BCG 매트릭스, 마이클 포터의 5-Forces 모델, 밸류체인 비즈니스 분석 등 굉장히 다양하다. 이러한 툴은 유명한 경영 전략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이미 검증되어 많은 전략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분석은 잘해놓고 엉뚱한 전략을 내놓거나 의미 없는 대안을 제시하는 상황을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게 된다. 운동선수로 비유하면 선수의 신체 특성, 장점, 단점, 경쟁력 등 현 상황을 잘 파악해놓고도 엉뚱한 훈련방법을 제안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략 팀에서 이러한 대안을 내놓는 이유는 해당 시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앞의 분석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기획자에게 필요한 건 데이터를 근간으로 한 통찰력이다. 경험이 많거나 통찰력이 좋은 기획자는 적은 정보를 가지..
2015.11.27 -
[로그분석 뽀개기 ③] 고객 행동 및 목표 전환 측정
고객은 사이트 접속 후 어떻게 행동하는가.고객이 서비스로 유입되었다면 다음으로 고객 이용형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고객은 서비스 유입 후 바로 이탈할 수도 있고, 운영자가 의도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유입된 고객을 어떤 관점에서 로그 분석해야 할지 살펴보겠습니다. 방문/재방문/체류시간 체크하루에 고객이 100명 방문했다고 로그 수치가 보일 때, 이 수치는 1명의 사용자가 100번 방문했을 수도 있고, 100명의 사용자가 1번씩 방문했을 수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우리 서비스를 정말 좋아하는 충성고객은 있지만 다른 고객의 유입이 없어 홍보가 덜되었다라고 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재방문이 없었기 때문에 한 번 왔던 고객은 우리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고 떠나간다고 볼 수 있습니..
2015.11.26